2013년 1월 1일 화요일

공부

네트워크 에디터에서 u키는 뒤로
d키는 디스플레이 옵션(네트웍 에디트나 view plane도 가능)
-네트웍 에디트에서 d기를 눌러 grid and snapping탭에
grid display,snap to grid
Dependency탭에 show local dependency link체크(레퍼런싱 된걸 알수있다.)

viewPort에 d키를 눌러 Geometry탭에 들어가면,scale normal로 노말 크기조정이 가능하다.
backGraound탭도 있으니 참고,
Markers탭에 custom에 톱니바퀴 1.2 , point에 대각선으로 그어져 있는 그림이 있는데
그 그림을 클릭. 여기에 Label은 Velocity_Vector, Name을 V로 ,Attribute도 v로 적고,
색깔도 쓰고 싶은걸 쓴다.
그리고 viewport 왼편에 Display Custom Attribute(말풍선 있는 아이콘)으로 on off 가능하다.


stamp()                                ex)stamp("scope","Token",기준값)
fit01()                                  ex)fit01(기준값,new Min,new Max)
rand()                                  ex)rand(value)
./                                           ex)현재경로
PT                                         ex)Point Number
NPT                                      ex)Total Point Number
abs()                                       ex)abs(Value)절대값으로 반환


sweep노드 expression이용
1-abs(1-$PCT*2)
PCT                                       ex)Percentage along backbone
PT                                           ex)Current Vertex
NPT                                         ex)Total Point Number
PATH                                      ex)Path Primitive number

carve노드
cubic()                                  ex)애니메이션 그래프
ch("./domainu1")+.2
$F/$FEND


후디니 노드에 락을 걸면 메모리를 많이 잡아 먹는다.

switch노드는 말그대로 스위치 역활 1은 input1 0은 input2

alt+1,2,3
ctrl+1,2,3
p 는 파라메터

$F와 $FF는 그래프로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point노드에서 $TX는 input1의TX $TX2는 input2의 TX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