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1월 4일 일요일

python기초

>>>#+,-,/,//,9/5,9.0/5.0,  #등등 여러 계산이 계산기 처럼 손쉽게 가능하다..
>>>#--------------------------------------------------------------------------------
>>>-9/5
-2
>>>#확인
>>>5*(-2)+1 #젯수*몫+나머지

>>>9%5 #9를 5로 나눈 나머지
4
>>>#-------------------------------------------------------------------------------
>>>#몫과 나머지를 한꺼번에 계산
>>>divmod(9, 5)
(1, 4)
>>>a, b = divmod(9, 5)
>>>a
1
>>>b
4
>>>#---------------------------------------------------------
>>>9.0/5.0
1.8
>>>9/5.
1.8
>>>#---------------------------------------------------------------------
>>>5.
5.0
>>>5.0
5.0
>>>5.4e10 #5 곱하기 10의 10승
540000000000.0
------------------------------------------------------------------------
나름 정리
여러 연산
+,-,*,/,등등...

//몫 연산자,%나눈 나머지,
**지수연산자,5e10는 5의 10의 10승,
a=1+4j 실수부와 허수부 j가 붙으면 허수부
import keyword
keyword.kwlist  는 파이썬 예약어를 보여준다.

#은 주석문

```
불라불라
불라불라     <이거또한 긴 문장의 주석
```
\은 다음라인을 현재라인과 연결시켜 주는 역활

=치환할 때 쓰인다. ==는 두 개의 값이 동일한지..

c ,d = 3, 4 한꺼번에 치환이 가능..
x=y=z=0 여러 개의 값을 0으로 치환
;는 문들을 구분시킬때 쓴다..
e,f=f,e은 값 교환

+=,-=,*=,/=,%=,&=,|=,^=,<<=,>>=,**=
ex)a=1
   a += 4   # a=a+4
   a=5
[]리스트
[0] 0번째 인덱싱
[1:5]1번째 부터 5번째 사이
[:]처음부터 끝까지
[5:]5번째 다음부터 끝까지
[:5]처음부터 5번째 미만 까지..
[::2]2간 단위로
[::-1]거꾸로

print 출력할때..
divmod( , ) 몫과 나머지
len() 갯수를 출력..
str() 은 문자열로 변화 시켜준다.
type()자료형 확인
eval()문자열로 된 식을 실행
exec()문자열로 된 문을 실행
range()입력된 숫자 전까지 다 입력한다.
*if문
if 조건식1:
    <문1>
elif 조건식2:
    <문2>
else 조건식3:
    <문3>
----------------------
조건식 하나만 쓸 때는 if
두번 쓸 떈 if와 else
if와 else사이에 elif가 몇 개든 올 수 있다..

*for문
for <타겟> in <객체>:
    <문1>
else:
    <문2>
---------------------------------
for문에서 반복해주고
else문은 break문으로 중단되지 않을 때 수행된다.
for문에서 break를 적어주면 반복해주지 않고 끈어준다.
for문은 중첩시켜 쓸 수 있다.
이건 일반``    이건 문자로 출력시''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